에스피시스템스가 두산로보틱스와의 연관성이 부각되며 주가가 강세를 보였는데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그리고 차트 흐름은 어떠한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두산로보틱스 상장이 주식시장에서 관심을 받는 이유
최근 우리사회는 사람과 상호보완 작용을 할 수 있는 협동로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많은 사람이 투입되어야 해낼 수 있는 일을 협동로봇을 통해 소수의 인원으로 해낼 수 있고, 인간의 노동력이 부족한 곳에도 쓰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협동로봇은 한 사람의 작업공간 정도를 차지하고, 미세한 움직임도 가능하여 인간과 나란히 작업이 가능하고, 글로벌 시장의 성장이 가파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이 협동로봇 개발과 투자에 나서고 있는데 두산로보틱스도 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증가하는 협동로봇의 수요를 감당할 수 있도록 투자하고,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여 글로벌 점유율 확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중국을 제외한 세계 협동로봇 시장점유율 5.4%이고, 국내에서는 점유율 1위)
특히 최근 삼성전자도 협동로봇 제조 역량 강화에 나서면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주가가 강세를 보였는데 상장 예정인 두산로보틱스에게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에스피시스템스와 두산로보틱스의 관계
에스피시스템스가 스마트팩토리 시장 진출을 위해 두산로보틱스와 협동로봇 대리점 계약을 체결한 바 있어 두산로보틱스 상장 수혜주로 부각되었습니다. (계약 관련해서는 에스피시스템스 공지사항에 2020년5월자로 대리점 계약 체결 공지가 있음)
에스피시스템스 차트 흐름
에스피시스템스가 9월11일자로 두산로보틱스와의 연결고리가 부각되면서 전고점이자 연고점을 경신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특히 연고점을 돌파하는 장대양봉이 출현했기 때문에 (단기간 내) 빠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돌파한 전고점(연고점)에 안착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돌파한 전고점(연고점)에 안착할 경우 상한가 모멘텀이 된 두산로보틱스 상장 재료가 소멸될 때까지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에 무게를 두어야 하겠고, 반대로 전고점에 안착하지 못하고 주가가 하회할 경우엔 전고점 아래에서 박스권 횡보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니 전자는 추세매매를, 후자는 박스권매매로 접근하시면 좋을 것으로 여겨집니다.